[비즈 칼럼] ‘스마트팜 혁명’ 싹트는 농촌…젊은 농부가 미래다

추천
등록일
2022-10-17
내용
우리나라 농촌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. 2020년 기준 국내 농가 경영주의 평균 연령은 66세로, 국민 평균 연령보다 20살 넘게 많은 셈이다. 특히, 40세 미만의 청년 농업인은 전체의 1.2%인 1만 2400가구에 불과하다. 통계에서도 농업·농촌이 마주한 어려움이 여실히 느껴진다.

지난달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된 주요 20개국(G20) 농업장관회의에 참석해보니, 이는 우리나라만의 어려움은 아니었다. 미국, 독일, 이탈리아 등 농업 선진국도 농촌 인구 감소, 고령화, 청년 부족 문제를 똑같이 고민하고 있었다. 동시에 국민의 식량 기지이자 국토발전의 중요한 한 축으로서, 농업과 농촌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것이 공통된 시각이었다.

전 세계적으로 농업·농촌이 처한 현실은 녹록지 않지만, 분명히 희망은 있다. 도전정신과 정보통신기술(ICT) 활용 능력을 갖춘 청년이 있기 때문이다. LG전자 연구원으로 일하다 2년에 걸쳐 교육을 받고 스마트팜을 창업한 충남 보령의 한 청년은 지난해 연 매출 4억원을 달성할 정도로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다.

정부는 꿈과 열정을 가진 젊은이들이 농업에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해 뒷받침할 계획이다. 지난 5일 발표한 ‘제1차 후계·청년농 육성 기본계획’에 따라 앞으로 5년 동안 청년농 3만 명 육성을 목표로 창업 준비부터 성장까지 단계별로 지원한다. 창업 초기 소득이 불안정한 청년농에게 지원하는 영농정착지원금 규모를 확대한다. 우선 올해 2000명이었던 지원대상을 내년에는 4000명으로 두 배 늘린다.

농지 공급과 자금 지원도 확대한다. 농지은행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청년농이 원하는 농지를 임대하거나 매도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급한다. 후계농 육성자금 지원 한도를 기존 3억원에서 5억원으로 늘리면서 금리는 2%에서 1.5%로 낮춘다. 상환 기간도 최대 15년에서 25년으로 대폭 확대한다.

이와 함께 청년이 쾌적하고 편리하게 거주할 수 있는 농촌생활권 400곳을 조성한다. 육아·문화 시설을 포함한 임대주택단지인 ‘청년농촌보금자리’는 내년까지 9개소로 늘리고, 농촌에 특화된 국공립 돌봄 시설을 확충할 예정이다. 이번 계획으로 정부는 2040년에는 청년농 비중이 현재 1.2%에서 10%까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. 청년은 한명 한명이 소중한 미래 자산이자 보배다. 이들이 농촌에서 꿈과 재능을 활발히 펼치며 행복한 삶터를 가꿀 수 있도록, 정부는 든든한 버팀목이 될 것이다.

중앙일보 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기고

* 기사, 썸네일이미지 출처: 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09575

첨부파일

댓글쓰기댓글쓰기